다시 맑스레닌주의가 ‘제한적’이라는 명제에 대하여
맑스레닌주의 사상도 당연히 맑스 레닌 시대에 살았던 그 생전의 제한성을 가지고 있다는 말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이는 모든 진보적 사상에 대해서도
더 읽기맑스레닌주의 사상도 당연히 맑스 레닌 시대에 살았던 그 생전의 제한성을 가지고 있다는 말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이는 모든 진보적 사상에 대해서도
더 읽기저자: 조 로리아(Joe Lauria) 2022년 12월 29일 컨소시엄 뉴스(Consortium News)에 처음 게시 먼쓸리 리뷰(Monthly Review) 2023년 1월 4일 미국과
더 읽기안길성(노동운동가) 1. 역사의 주인공은 민중 현재의 정세는 변혁적 정세를 예고한다. 이러할 때 우리는 노동자계급과 민중이 변혁을 향해 나서도록
더 읽기주제: 맑스주의 고전읽기 세미나 시간: 2023년 2월 14일 19시 맑스의 프랑스혁명사 3부작 중《프랑스 내전》은 국가의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는
더 읽기2023년 1월 27일 우리는 지난 2022년 12월 24일 정권퇴진 투쟁에 적극 나서야 한다면서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임기 초반이라 정권퇴진
더 읽기우크라이나 파시즘이 “산발(散發)된 사실들, 일화들”이라는 산발(散髮)적 인식 이제 우크라이나 전선으로 돌아와 보자! 앞에서 제기했던 명제, 우크라이나에서 파시즘은 단지 러시아의
더 읽기우리는 페루에서 지금 일어나고 있는 의회 극우 세력들의 카스티요 대통령 축출과 페루 인민의 저항과 학살에 대해 《연성 쿠데타로 축출된 페루의
더 읽기“미국 주도의 세계화가 끝나면 민중에게 새로운 기회가 찾아온다는 진보 좌파 일각의 목소리도 들려온다. 하지만 나는 오늘날의 세계화 위기는 진보의 기회보단
더 읽기페루 대중의 분노와 에너지가 자유와 사회주의의 꿈을 실현하는 데 집중될 수 있을 것인가? 랄카(LALKAR) 저자 2023년 1/2월 * 랄카는
더 읽기북의 주체사상에서 사회적 인간으로서의 인간의 본질적 특성 중 ‘자주성’이 나오는데, 최근 언론에서는 다른 차원에서 노조의 ‘자주성’ 쟁점이 부각되고 있다. 이
더 읽기프랑스와 스페인에서의 영웅적인 반파시즘 투쟁에 대한 교조·종파주의적 인식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미제국주의와 나토 제국주의자들의 우크라이나를 앞세운
더 읽기저자: 카를로스 마르테니즈(Carlos Martinez) 2021년 2월 21일 출처: https://invent-the-future.org/2021/02/neither-washington-nor-beijing/#more-815 * 원 글에는 111개의 방대한 주가 있는데, 분량이 많아 이 번역에서는
더 읽기이범주 이 책은 2010년 위키리스크가 가디언을 통해 폭로한, 한국 주재 미 대사관과 본국 사이에 오고 간 전문(全文)에 근거하여 간단하게
더 읽기이범주 윤석열이 2023년 신년사를 발표했다. 신년사는 이 나라의 점점 어려워져 가는 경제환경과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와 이 나라 대통령으로서 그것을
더 읽기* 이 글은 [현대사상연구소]에 <현대사상>에 실린 글입니다. 또한 지난 12월 30일 민주노총 주최 집담회 ‘윤석열 정권과 당면 정세대응을 위한 집담회’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