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권’ 주창하는 신좌파의 정치 노선에 대해
한상균 노동자대통령 후보의 개돼지 발언이 논란이 되고 급기야 선대본 차원에서 공식 사과까지 했다.
한상균 후보가 과거 나향욱처럼 “민중은 개돼지로 취급하면 된다. 개·돼지로 보고 먹고 살게만 해주면 된다고” 이런 망언을 일삼은 것도 아니고 필시 민중을 개돼지 취급하는 권력자들에 대한 분노의 표현으로 사용했던 표현에 대해 파문이 일고 급기야 선대본에서 이를 공식 사과까지 했다는 점에서 개탄스럽기까지 하다.
이는 해프닝 정도가 아니라 작금에 유행하는 신좌파 다원주의 같은 사상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는 계급운동을 외치는 이들도 이러한 신좌파 다원주의의 깊은 영향력 하에 놓여 있는 사상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한상균 선대본은 노동자계급성과 변혁성을 외치는 세력과 신좌파 다원주의가 연합한 선대본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는 문제다. 또한 이 연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들 신좌파 다원주의 세력들의 피시(정치적 올바름)주의를 수용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기에 나타나는 문제다.
엥겔스가 《독일고전철학의 종말》에서 비판했던 것처럼, 이들은 언어를 바꾸면 사물이 바뀔 수 있다고 생각하는듯하다.
동성애나 동성애자가 인간의 한 실존적 모습이기에 그 자체로 인정ㆍ존중하고 극우들의 혐오에 맞서 싸워야 한다.
자본주의의 공장식 축산이나 생명 있는 동물학대에 대해 분노하는 건 인지상정이다.
그러나 그것도 정도가 있고 보편적ㆍ진보적ㆍ합리적 상식을 넘지 말아야 한다. 관계를 파탄시킬 정도로 피곤하게 하지 말아야 한다.
더욱이 이는 이를 노선으로 삼는 자유주의적 신좌파 다원주의자들의 문제이기도 하다.
신좌파 다원주의는 청산주의의 산물
이들은 계급ㆍ착취철폐ㆍ노동자중심성ㆍ분단ㆍ 민족 ㆍ제국주의 등 근본문제를 제기하고 혁명적으로 싸우자는 주장과 노선을 거대담론이라 부정하며 미시담론ㆍ각종 인권담론을 제기한다.
서구에서는 후르시초프의 반스탈린 악마화 이후, 소비에트 적대성이 서구 좌파에 만연하고 공산주의 운동의 분열과 유로꼬뮤니즘으로 우경화 되면서 정치적 전망을 상실한 뒤 프랑스68혁명을 계기로 이러한 소부르주아 사상이 만연하기 시작했다.
국내에서는 혁명의 시대 80년대가 지나 소련과 동유럽해체 이후 청산주의가 대두되고 북의 고난의 행군을 보면서 회의주의가 만연하면서 맑스주의 위기니 노동운동 위기니 하며 포스트 맑스주의 포스트모더니즘 등 신좌파 다원주의가 만연하고 지금에는 최고조에 이르렀다.
이들의 이러한 사유ㆍ인식ㆍ실천이 노동운동 진보운동 내에도 상당히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변증법적 유물론은 인간중심적이다. 그런데 이것이 자연을 마구 파괴하고 생명 있는 동물을 마구 학대하라는 게 아니다.
엥겔스는 《자연변증법》에서 자연파괴를 경고했다.
자연 파괴, 동물학대, 인간혐오는 무한 이윤을 추구하는 자본주의 착취사회, 특수하게는 한국의 백색테러 반공주의, 파쇼체제에서 더더욱 악랄하고 파괴적이다.
맑스주의는 인간과 세계의 조화를 강조한다. 이 사회의 근본변혁을 주장한다. 피시주의의 계몽적 엘리트주의 대신 기층 인민대중에 근거하고 겸손하게 배울 것을 강조한다. 끈질긴 설득과 교양, 상호배려ㆍ존중ㆍ단결을 주장하다.
“정치적 올바름”은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않는다. 분열을 조장한다.
물론 이들의 합리적ㆍ진보적 요소가 있다면 이들과는 한시적ㆍ조건적 연대는 가능하다. 그럼에도 이들의 자유주의(리버럴) 사상, 소부르주아 사상과 싸워야 한다.
특히 미제의 국제개발처가 전 세계에 리버럴사상을 유포한 것에서 보듯 제국주의 프로파간다의 일환이기도 하다는 점을 폭로해야 한다.
미제가 인권ㆍ인도주의를 내걸고 반북ㆍ반러ㆍ반중ㆍ반이란ㆍ반쿠바ㆍ반네수엘라 레짐체인지를 기도하는데 여기에 부화뇌동하지 말아야 한다.
미제와 프랑스ㆍ영국ㆍ독일ㆍ일제가 중국 일대일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 등을 가지고 중국혐오, 루소포비아를 유포하며 신제국주의론을 유포하는데 여기에 놀아나지 말아야 한다.
신좌파 다원주의자들이 말하는 개인의 인권ㆍ생태ㆍ기후위기도 상당부분은 (서방)제국주의, 반공 종북몰이와 싸움으로 해결할 수 있다.
체제전환 노선에서 말하는 평등은 전노협의 착취철폐 평등사회 건설노선이 아니다.
미제ㆍ 분단척결 계급착취 철폐로 체제를 혁명으로 전환하자는 노선이 아니다.
분단척결, 미제척결, 착취적 생산양식 철폐가 아니라 그 체제 내에서 모종의 전환을 의미하다. 실제로는 체제전환 노선이 아니다. 체제 내의 노선이다.
이 기사를 총 14번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