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릴라들 총을 든 사제》 총과 펜으로 소모사 독재에 저항했던 사제들

_ 김남기(《반공주의가 외면하는 미국역사의 진실》 저자)

 

1961년과 1979년은 한국 현대사에 있어 중요한 역사적 사건이 있던 연도다. 1961년 5월 16일 박정희를 포함한 군부가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잡았고, 1979년 10월 26일 18년간 장기 집권을 하던 박정희가 부하 김재규가 쏜 총에 맞고 사망했다. 비슷한 지구 반대편에 있던 니카라과에서도 1961년과 1979년에 상징적인 역사적 사건이 있었다.

1961년 니카라과에서는 산디니스타민족해방전선(The National Liberation Front of Sandinista)이 창설되어, 미국에 지원을 받는 소모사 독재 정권에 맞서 무장투쟁을 시작했다. 그리고 1979년에는 정치 및 무장투쟁 끝에 산디니스타들은 소모사 3대 세습정권을 무너뜨리고, 민중의 지지를 받으며 집권했다.

산디니스타들은 18년간 소모사 독재정권에 맞서 투쟁했고 승리했다. 과거 니카라과의 독립운동가 아우구스토 산디노가 미해병대의 식민지 정책과 자본주의에 맞서 투쟁했듯이, 산디니스타들도 자국의 경제를 착취하고 유린하는 미국의 자본과 친미 자본가들에 맞서 투쟁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산디니스타들의 투쟁은 결코 짧지 않았으며, 또 그만큼 고난과 역경이 많았다. 이들은 소모사 독재 정권에 맞서, 니카라과 밀림에서 게릴라전을 전개했고, 촌락에 해방구를 건설했다. 소모사 정권과 미국은 산디니스타들의 무장투쟁을 진압하기 위해, 마을과 촌락을 불태우고, 약탈했으며 산디니스타로 의심되는 민간인을 체포하고 구금하며 사살했다.

스페인 내전과 그리스 내전, 한국전쟁과 베트남 전쟁에서 우익들이 자행했던 잔혹행위와 학살극이 니카라과에서도 미국과 친미 정부에 의해 자행된 것이다. 미국의 지원을 받은 소모사 정부 하의 니카라과는 찢어지게 가난한 사회였다. 1970년대 당시 니카라과의 실업률은 36%였고, 문맹율은 74%였으며, 60%가 영양실조였다. 말 그대로 대다수 민중은 빈곤과 가난에 고통받았다. 다른 한편 미국의 지원을 받아가며 3대를 세습한 소모사는 1974년 기준으로 전 재산이 대략 9억 달러였다. 이런 모순이 분명했던 니카라과에서 산디니스타들이 집권한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었다.

프랑스의 만화가 르파주가 만든 만화 《게릴라들 총을 든 사제》는 당시 니카라과에서의 민중의 삶과 게릴라들의 투쟁을 잘 조명했다. 만화는 주인공이 소모사 정부군에 의해 조사받는 장면부터 시작한다. 민중의 삶과 소모사 정부군의 폭력과 억압 속에서, 참된 그리스도의 길을 찾기 위해 각성해가며, 결국 혁명에 동참하게 되는 것이 주인공의 이야기다.

주인공 또한 1967년 볼리비아에서 사살된 체게바라(Che Guevara)처럼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나, 혁명군으로 각성해가는 과정을 거친다. 체게바라가 젊은 시절의 여행경험을 통해 각성을 했다면, 만화 주인공은 마을에서 참 예수의 길을 따르러 가는 과정에서 각성한다.

만화는 많은 부분에서 독자로 하여금 생각을 하게 만든다. 특히 교회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하게 만든다. 과연 우리 주변에 있는 교회는 남을 위해 희생하고, 로마 제국의 폭력에 맞서 민중을 위해 저항했던 예수의 길을 잘 따르고 있는지 말이다.

만화 주인공이 가지는 의구심도 바로 거기서 시작된다. 주인공은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종교인으로서, 단순히 돈많고 부를 축적하며 민중을 억압하는 이들을 위한 고귀하고 깔끔한 예수의 모습이 아닌, 민중을 위해 권력의 폭력에 맞서 저항하고 희생했던 예수의 모습과 고난을 교회 벽화에 표현하고자 한다.

산디니스타민족해방전선이 무장투쟁을 위해, 실현하고자 했던 이데올로기가 당시 독재정권에 억압받던 니카라과의 기독교인들이 실천하고 싶었던 하느님의 말씀과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니카라과에서는 민중신학으로 대표되는 종교인들이 제국주의와 식민주의에 맞서 투쟁한 것이었다.

만화는 소모사 군대의 병사들이 마을에 있는 민중을 체포하고 학살하며, 파괴하는 장면을 적나라하게 보인다. 소모사의 군대가 라이터라는 물건을 통해, 산디니스타들을 색출해내는 폭력적인 과정도 잘 보여준다. 사실 소모사 군대가 이런 짓거리를 저지르게 된 이유에는 병사들의 급여를 제대로 주지 않은 점과 오로지 자신들 공장에서 나온 성냥만 판매하게 만들었기 때문이었다. 소모사 정부는 군대, 땅, 산업 그 모든걸 손아귀에 장악하고 있었다. 산디니스타들의 투쟁은 바로 이런 전반적인 불의에 맞선 투쟁이었다.

만화에선 산디니스타에게 포로로 붙잡힌 미군 고문단이 나온다. 이 미군 고문단은 산디니스타들에게 “너희들은 너무 이상적이야.”라며, 현재 자본가들이 사회주의 실패의 논리를 들이대는 것과 비슷한 주장을 한다. 만화에서 한 게릴라 전사가 반박했듯이, 이러한 주장을 하는 이들은 “현재의 비참하고 굴욕적인 모습 뒤에 감추어진 인간의 다른 면”을 보지 못한다.

미군 포로와 게릴라의 대화에서 나는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의 해체를 보고, 사회주의가 실패했다고 주장하는 이들의 논리적 허점을 다시 한번 생각했다. 많은 이들이 소련은 1970년대부터 경제가 몰락하여, 결국 망할 수 밖에 없었다고 한다. 그러나 대한민국 지구 반대편에 있던 중남미에선 쿠바를 중심으로 여러 나라들이 미국의 식민지 지배에 맞서, 민족해방과 더불어 사회주의를 실현하고자 했다.

쿠바의 카스트로와 체게바라, 과테말라의 아르벤스, 니카라과의 산디니스타, 칠레의 아옌데, 베네수엘라의 차베스 등 20세기 중남미의 역사는 진보를 향한 투쟁의 역사다. 나는 이러한 역사적 사실에서 사회주의자는 세계 혁명사를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만화의 주인공은 사제지만, 현재 기독교 신자들이 매우 혐오하는 동성애적인 요소도 거리낌 없이 보여준다. 기독교에선 동성애를 배척하지만, 과연 그게 옳은 일일까? 만화는 이러한 점에서 동성애를 다시한번 보게 만든다. LGBT로 대표되는 동성애자 또한 인간이며, 우리와 평등한 권리를 누릴 자격이 있다. 하나의 다름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 이것 또한 만화가 보여주고 있다.

이번에 《게릴라들 총을 든 사제》를 읽으며, 여러지점에서 많은 생각을 했다. 미제국주의에 짓밟힌 중남미의 역사와 이에 맞서 저항한 중남미 인민들 그리고 성공한 혁명 등. 1979년 산디니스타가 정권을 잡자 바로 한 일이 있다. 그것은 바로 가난한 아이들을 가르치고, 먹이고, 입히고, 집을 주고, 무상으로 치료하는 것이었다. 또한 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소모사 정부의 무차별적이던 사형제도를 폐지했으며, 인민의 권력을 강화했다. 미국이 산디니스타를 반대한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었다. 만화의 작화도 퀄리티가 높으며, 또 재미가 있다. 많은 이들에게 이 만화의 일독을 권한다. 마지막으로 산디니스타의 국가 1절을 인용하며 마치겠다.

“동지들이여 앞을 향해 전진하라.
혁명을 위해 앞으로 전진하라.
우리 인민은 그들 자신의 역사의 주인이며
그들 자신의 해방을 위한 건축가다.

산디니스타민족해방전선의 전사들이여
미래를 위한 힘찬전진은 우리의 것이다.
빨강-검정색의 깃발이 우리를 감싸며
자유로운 조국을 위해 우리는 살거나 죽을 것이다.

산디노의 아들들이여
우리는 배신하거나 항복하지 않을 것이다.
인류의 적인 미제(양키)에 맞서 싸우자.”

이 기사를 총 186번 보았습니다.

노정협

전국노동자정치협회

공유하기